2025/10 3

AI 소재 개발 연구와 사업에 대한 이야기

문득... 은 아니고 이미 한참 전부터"이대로는 안 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지금은 프리랜서로 연구 용역을 하고 있습니다. 약물 설계나 시뮬레이션을 통한 메커니즘 분석이나 AI 기반 소재 디자인 같은 일들입니다.사업이라기보다는 잠시 생활비를 벌기 위해 시작한 일입니다.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기고 슬슬 진짜 사업을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그러다 최근에 문득 봐버렸습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smb-venture/2024/03/06/FBESGKWLJZCSRCP5CIIJM7FV7A/ 딥마인드의 수장 데미스 하사비스 씨입니다. 학생 시절부터 제가 거쳐간 연구주제들이 초전도체 이론, 단백질 구조예측, 신약개발, 소재 디자인 들인데...왜 데미스 하사..

이야기 2025.10.29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기술

저는 대학원생 때 전공 분야가 응집물질물리이론이었습니다. 주로 고온 초전도체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고온 초전도체의 초전도 매커니즘이 무엇인지 어떻게 초전도현상이 일어나는지 그 기원을 찾는 연구였습니다. 뭐 저는 허접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딱히 연구 결과에 대해서 이야기하진 않겠습니다. 그냥 제 뿌리는 완전히 기초과학에 해당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저는 학생때 내가 하는 연구가 세상에 어떤 도움이 되는 것인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별로 생활에 충분한 돈은 아니지만,(제 인건비 월 40만원 정도였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연구비에서 나오는 돈이었고, 그 재원은 국민 세금일 것입니다. 얼마를 받던 국민의 돈인 이상, 그것이 국민에게 이로워야 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럼 내 연..

같은 것을 보고 같은 것을 느끼고 같은 것을 생각하는 사람

만약 아무도 없는 공간에 혼자 던져진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언제인가 밤하늘을 올려다보고 무수한 별들을 보면서 우주에 나 혼자 떨어져 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인간은 동족 사이에 있고 싶어 합니다. 그런데 동족이란 뭘까요? 서로 교배하여 자식을 얻을 수 있는 존재들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중요한 조건이긴 하죠. 동족이 없다면 자식도 생기지 않고 거기서 그 종은 끝나버릴 테니... 하지만 생물학적인 의미만은 아닐 것입니다. 만약 동족이라고 생각한 무리에 속해있는데, 껍데기는 비슷하지만, 알맹이는 자신과 전혀 다른 존재들이라면 어떨까요?전혀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아무런 공감을 할 수 없는 존재라면? 야후들 사이에 떨어진 걸리버 같은 상황이라면? 나는 의..

이야기 2025.10.15